한국무역협회는 10일 내년에도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기조와 불확실한 통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우리 기업들이 철저한 리스크 관리 모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무역협회는 이날 '2018년 통상이슈 점검 및 2019년 통상환경 전망'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처방을 내놨다. 그러면서 “통상환경의 큰 흐름과 변화를 인지해 단기 대응방안과 중장기 전략을 모두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보고서는 내년에는 미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무역구제 조치가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미국이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에 대해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를 부과할 경우 파장이 커질 것을 우려했다.
무역협회는 또 휴전 상태에 있는 미·중 통상 분쟁을 본질적으로 미래 산업기술 패권을 둘러싼 주도권 경쟁으로 규정했다. 미 의회가 중국 통상정책에 초당적으로 대처하는 점을 고려하면 갈등 장기화 가능성이 클 것으로 진단했다.
보고서는 미국 이익을 우선시한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이 다른 무역협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런 만큼 기업들이 단기적으로는 무역구제 조치를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신규 시장 진출 시에도 이를 꼼꼼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반덤핑 조사 등 통상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조직과 인력 확보도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미·중 통상 분쟁 장기화에 대비해 생산·구매 네트워크와 시장진출 전략을 재점검하는 한편 우리나라가 새로 체결한 FTA를 활용해 수출시장 다변화에도 나설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