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와 고용 부진에 허덕… 중국 경착륙 여부 주시
우리나라 경기는 현재 하강 국면 속에 있으며 이 같은 흐름은 내년 상반기나 하반기 초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경제연구실장은 9일 '경기 하방 리스크 관리를 통한 경제 복원력 강화'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예측했다. 그는 경기 동행·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하락하는 점을 들면서 "우리 경제가 2017년 5월 정점 이후 2018년 4분기 현재까지 하강 국면을 지속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주 실장은 “최근의 성장세는 내수가 역성장 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수출이 방어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3분기 경제 성장률이 전기 대비 0.6%였는데 내수 성장기여도는(-1.3%포인트)는 전 분기에 이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소비는 내구재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금리 상승, 소비 심리 약화, 고용 부진 등으로 절벽 리스크를 맞아 뒤뚱거리고 있다고 진단됐다.
이런 가운데 성장세를 떠받치던 수출마저 낙관하기 어렵다는 것을 큰 문제점으로 봤다. 올해 1∼9월 총수출 증가율이 전년 대비 4.7%였지만 반도체를 제외하면 1.7% 감소로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전반적으로 수출 경쟁력이 좋지 않은 가운데 수출을 이끌던 반도체 경기마저 점차 꺾여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는 애기다.
대외적으로도 글로벌 경기와 중국 경기의 하강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 경기가 경착륙할 경우 한국 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이 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시했다.
이 같은 리스크 요인 등을 감안하면 경기 저점은 내년 상반기∼하반기 초에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연구원 측은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