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금융연구원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0%에서 0.8%로 1.2%포인트 낮췄다.
한국금융연구원은 7일 발표한 '2025년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0.8%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전망치(2.0%)보다 1.2%포인트 낮은 것이다.
연구원은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로 민간소비 회복이 둔화하고 누적된 수주 부진 영향으로 건설투자가 크게 부진한 가운데 미국의 관세 인상 여파로 수출도 위축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연구원은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을 0.9%로 전망했다. 1분기 민간소비가 이미 전분기 대비 0.1% 감소하는 등 부진이 심화했다. 연구원은 "대내외 불확실성 해소가 늦어지면서 소비심리는 장기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의 경영 여건 악화와 함께 고용시장이 둔화하는 등 가계의 소득 여건도 악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건설투자는 지난해 대비 5.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2022∼2023년 수주 부진 영향이 올해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부진이 심화할 것으로 진단했다. 연구원은 "지난해 2분기 이후 금리인하, 공사비 인상률 둔화로 건설 수주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였으나 그 수준은 여전히 낮다"고 분석했다. 또한 인허가·착공 물량 감소세, 미분양 주택 적체가 향후 건설투자 회복 속도를 제약할 것으로 내다봤다.
설비투자는 0.3%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미국발 관세 정책의 영향력이 커지는 연말로 갈수록 설비투자 증가율 둔화 폭이 커지겠지만, 관세 완화 가능성과 올해 상당수 항공기 도입이 예정된 점은 설비투자 증가율 하락을 제한할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원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와 경제의 불확실성 증대로 인한 글로벌 교역 위축으로 인해 총수출과 총수입 모두 0.3%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에 따른 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상반기 2.0%, 하반기 1.9%로 연간 기준 2.0%로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