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흐름 좋은 다른 아시아 국가와 달리 '규제가 걸림돌'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 축소 따른 설비투자 차입금 부담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 축소 따른 설비투자 차입금 부담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내년에 한국의 전력회사가 규제와 관련해 어려움이 커질 것이라며 한국의 전력산업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을 내 주목된다.
무디스의 마이크 강(Mic Kang) 선임연구원은 5일 "안정적 현금흐름과 점진적 규제 변화,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자본시장 변동성에 대한 충분한 완충력 등을 고려할 때 내년 아시아 지역의 전력산업 전망은 '안정적'"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그는 "한국과 일본 전력회사들의 경우 규제와 관련된 어려움이 신용 지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우려감을 표시했다.
그러면서 아시아 10개 지역 가운데 중국·홍콩·인도·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필리핀·싱가포르·태국 등 8개 지역에 대해서는 '안정적' 전망을, 한국과 일본 전력산업에 대해서는 '부정적' 전망을 각각 냈다. 내년도 아시아 지역의 전력산업 전망에 대해선 대체로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내리면서도 한국과 일본에 대해서만큼은 부정적 전망을 고수하고 있는 것이다.
또 그는 "한국의 경우 원자력 발전에 대한 안전기준이 강화되고 정부가 원자력·석탄화력 발전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발전 원가 증가분이 시의 적절하게 전력요금에 반영될 가능성이 낮게 유지되고 있다"며 "따라서 주요 전력회사들의 설비투자 관련 차입 의존도가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에서도 규제 완화와 관련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면서 "일부 전력회사들은 경쟁 심화와 독점적 시장 지위 약화로 취약한 재무 지표를 개선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