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9월 93.1% 까지 하락… 건설·제조업 일자리 부족 영향
주된 가계 소득원인 30∼54세 남성들의 경제 활동 참가율이 갈수록 낮아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한국은행 박용민 과장, 권기백 조사역, 이나영 조사역은 4일 BOK 이슈노트 '경제 활동 참가율 변화에 대한 평가 : 핵심 노동연령층 남성을 중심으로'라는 보고서에서 이 같은 문제 제기를 했다.
보고서는 핵심 노동연령층 남성의 경제 활동 참가율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대체로 하락세를 보였다고 언급했다. 1996년 95.9%이던 것이 올해 1∼9월엔 93.1%로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경제 활동 참가율 하락은 경제 전반의 활력에 악영향을 미치고 사회문제로까지 비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게 우려된다.
노동 공급이 가장 활발하고 생산성이 가장 높은 소위 핵심 노동연령층 연령대는 주요국에서 대개 25∼54세로 꼽는다. 하지만 이 보고서는 한국의 핵심 노동연령층은 군 복무나 높은 대학 진학률 등을 감안할 때 30∼54세가 그에 해당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남성 핵심 노동연령층의 경제 활동 참가율 하락은 중숙련 비중이 줄어드는 일자리 양극화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을 고숙련(관리자, 전문가)과 중숙련(사무직, 기능원 및 장치·조립 종사자), 저숙련(서비스직, 판매직, 단순노무직) 등으로 분류할 때 그간 핵심노동연령층 남성이 주로 맡았던 중숙련 일자리가 자취를 감추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숙련 일자리 비중은 1994년 60.0%에서 지난해 55.5%로 감소했다. 남성 핵심 노동연령층이 일하지 못하면 가계 소득이 줄고 가정이 해체되는 등 사회적인 문제로 비화될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