産銀 양서영 연구원 "OECD국가중 노인 빈곤율 최고"
65세 이상 고령층 재취업자의 30% 정도가 단순 노무직인 청소·경비직인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은행 양서영 연구원은 3일 '고령자 고용의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고용보험 통계를 인용해 이같이 밝혔다. 2017년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고령층의 직종별 고용보험 신규취득자는 청소·경비직이 3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사람 중 한 명꼴이라는 얘기다.

특히 50세 이상 재취업자 중 직전 고용 기간이 5년 미만인 경우는 대부분이 단순 노무직인 청소·경비직종에 재취업했다. 청소·경비직 등에 재취업하면서 통계에 잡힌 은퇴연령은 남자 72.9세, 여자 73.1세였다. 이는 경제협력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OECD 회원국 평균 은퇴연령은 남자 65.3세, 여자 63.6세다.
우리나라 취업자들은 자신의 생애 기본 일자리에서 평균 49.1세 나이에 조기 퇴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 국가들은 대개 60대 초반에 퇴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기본 일자리에서의 조기 퇴직과 단순직 일자리로의 재취업으로 인해 65세 이상 빈곤율은 2015년 기준 45.7%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았다.
양 연구원은 "은퇴 전 직업훈련 부족, 고령 인력수요의 일부 업종 편중 등으로 고령자 일자리는 청소·경비 등 단순 노무직에 지나치게 몰려 있다"고 지적했다. 50대 재직자 중 사업자가 지원하는 '직업능력 훈련개발' 프로그램을 받은 비율도 11%에 불과해 은퇴 전 직업훈련이 태부족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점진적 정년연장과 고령자 고용 인센티브 확대 등을 통해 기본 일자리 근속 기간을 늘리는 한편 고령자 직업훈련예산 확대도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