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택산업연구원은 29일 내년 서울 주택 가격이 올해 연간 상승분(추정치)의 6분의 1 수준인 1.1% 상승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전국의 주택 가격은 올해 소폭 상승에서 내년 하락으로 돌아설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2019년 주택시장 전망" 자료를 통해 "서울 주택가격은 올해 대비 상승 폭이 크게 둔화하겠지만 잠재된 상승압력 요인으로 인해 매매가가 1.1%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서울 주택 가운데 아파트 상승률은 1.6%로 예측됐다. 올해 연간 서울 아파트 상승률 추정치는 8.6%이며, 서울 주택 전체 상승률 추정치는 6.2%다. 내년 전국 주택 매매가는 서울의 상승 폭 둔화, 경기도와 지방의 하락세 지속으로 0.4%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전국 주택 매매가 상승률 추정치는 1.1%다.
전세가는 서울은 0.3% 오르겠지만, 전국적으로는 1.0% 하락해 매매가 추이와 비슷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올해 주택시장 동향에 대해 "서울 아파트 가격 급등과 단독주택 가격 상승이 전국 주택가 상승을 견인했다"고 진단했다. 내년에는 아파트 가격 하락 폭이 확대되겠지만 단독주택가격 상승세가 이를 상쇄해 실제로 느끼는 전국 주택가격 하락 수준은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내년 주택매매 거래량은 올해 추정치 90만건보다 감소한 85만건으로 예측했다. 특히 서울·수도권의 거래 감소 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했다. 2019년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는 ▷주택 관련 대출 규제 ▷ 금리 ▷공급량 ▷가계부채 ▷입주량 등이 될 것으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