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투자와 민간소비 주춤하고 수출 증가율도 하락 전망
자동차ㆍ철강ㆍ섬유 등 주요 산업의 수출 줄 것으로 예측

산업연구원은 26일 '2019년 경제·산업 전망' 자료를 통해 내년 경제성장률을 올해 예상치 2.7%보다 낮은 2.6%로 예측했다.국책연구기관인 이 연구원이 내년 국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올해보다 낮게 본 것은 대내외 경제여건 악화로 수출과 투자, 소비가 모두 둔화할 것으로 본 때문이다. 연구원은 최근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6월 제시했던 3.0%보다 낮은 2.7%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연구원은 물량 감소와 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수출증가율이 올해 6.4%(전망)보다 낮은 3.7%로 후퇴할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수출은 6천330억달러로 전망했다. 13대 주력산업의 내년도 수출은 대내외 경제여건 악화로 대체적으로 올해보다 부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가운데 수출 증가가 예상되는 업종은 조선(증가율

13.8%), 일반기계(1.8%), 정유(6.1%), 석유화학(0.4%), 정보통신기기(2.4%), 반도체(9.3%), 2차 전지(8.6%), 음식료(4.3%) 등 8개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올해 약 30%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수출을 견인한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에 힘입어 내년에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았다.
정유와 석유화학은 국제유가 안정화로 수출 단가 상승이 제한적이며, 일반기계는 글로벌 성장세 둔화와 미·중 무역 분쟁 장기화로 증가세 둔화가 점쳐졌다. 그 외에 자동차(-0.2%), 철강(-3.3%), 섬유(-0.3%), 가전(-7.5%), 디스플레이(-2.5%) 등 5개 산업은 수출 후퇴를 예상했다.
연구원은 내년 민간소비 성장률은 올해보다 0.2%포인트 낮은 2.6%에 그치고, 올해 2.5% 감소가 전망되는 설비투자는 내년엔 1.9% 증가로 돌아설 것으로 각각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