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에는 반도체 경기마저 후퇴하고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등의 경기도 올해처럼 부진을 면치 못해 주력 제조업의 어려움이 지속될 전망이다.전경련은 21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콘퍼런스센터에서 '2019년 산업 전망 세미나'를 열고 내년도 국내 제조업 경기 흐름을 이같이 예측했다.

세미나에는 김현 메리츠종금증권 기업분석팀장 등 산업 분야별 전문가들이 발표자로 나섰다. 이들은 반도체와 자동차·자동차부품, 조선·기계, 철강, 석유화학, 전자·전기 등 6개 주력 제조업별로 내년도 경기 전망을 내놓았다.
발표자들은 내년도 주력 제조업의 판도를 '3약 2중 1강'으로 전망했다. 전자·전기 정도만 강세를 점치는 가운데 반도체와 조선은 실적이 불투명하고, 자동차·철강·석유화학은 부진을 예상했다.
반도체의 경우 D램은 수급이 개선되지만 낸드플래시는 공급 과잉을 면치 못해 경기 후퇴가 예상됐다. 조선·기계업종은 호재와 악재가 겹칠 전망이다. 조선 업종의 호재는 중국 조선업계의 구조조정, 친환경 선박으로의 교체 발주 등이다. 악재는 조선업 경쟁력이 약화한 점이다.
기계 업종도 주요 수출국인 중국과 미국의 인프라 투자 정책이 나오지 않을 경우 하락세를 면치 못할 전망이다. 자동차 업종은 미국의 수입 자동차 관세 부과와 수출 물량 제한 가능성, 리콜 등 품질비용의 증가 추세, 중국 시장 부진에 따른 저성장 지속 등으로 부진이 이어질 전망이다.
석유화학 업종은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로 업황 악화가 예상됐다. 상대적으로 전자·전기 업종은 주력 제조업 중 유일하게 경기 호조가 점쳐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