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 10명 중 7명은 가계 형편이 물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보다 나빠졌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지난달 21∼27일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패널 조사 방식으로 실시해 20일 내놓은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71.5%는 가계경제가 1년 전보다 악화했다고 답했다. 개선됐다는 응답은 28.5%였다.
가계경제가 얼마나 개선 또는 악화했는지 묻자 '20∼30% 악화'가 26.4%로 가장 많았다. 이어 '0∼10% 악화'(23.2%), '10∼20% 악화'(21.5%), '0∼10% 개선'(18.5%)의 순서였다.
가계경제를 악화시킨 가장 큰 요인으로 '물가 상승'(71.9%)이 꼽혔다. 이어 '실질 소득 감소'(11.9%), 일자리 부족·불안정(9.5%)의 순서로 지목됐다.
물가가 크게 오른 부문으로 식료품·외식비(72.0%)가 꼽혔다. 그 다음으로 에너지 비용(11.0%), 주거비(4.5%), 공공요금(3.4%)이 지목됐다.
일자리·사업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불안정'하다는 반응이 43.1%인 반면 '안정적'이라는 응답은 26.5%에 머물렀다. '보통'은 30.4%였다.
내년도 전망에 대해선 '악화할 것'이 64.2%로 '개선될 것'(35.8%)이라는 응답의 거의 두 배에 가까웠다. 소득 전망은 '감소' 52.1%, '증가' 47.9%였다. 지출 전망은 '증가' 54.2%, '감소' 45.8%였다.
응답자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부 정책은 '생필품 가격 안정화'(58.4%)를 비롯해 '에너지 가격 안정'(13.9%), '취약계층 선별 지원'(9.7%), '소비 관련 세금 감면'(7.9%) 등의 순서였다.
일자리 정책과 관련해선 '취약계층 맞춤형 일자리 지원'(24.6%), '미래 유망산업 인력 양성 및 일자리 창출 지원'(17.3%), '재취업·직무 전환 지원 강화'(16.8%), '노동시장 유연성·공정성 확보'(14.0%) 등의 순서로 기대했다.
가계부채와 관련해선 '가계부채 증가 요인 해소 정책 강화'(41.1%)를 비롯해 '부동산시장 안정화'(31.6%), '취약계층 부채 상환 지원'(13.0%) 등이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