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부가 넉 달째 경기의 하방 위험·압력 증가를 언급했다. 또한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마저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기획재정부는 14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3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수출 증가세 둔화, 경제심리 위축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 애로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2월 경기 판단과 유사한 가운데 '수출 증가세 둔화' 표현이 추가됐다. 수출 동향에 대해 정부가 어둡게 진단한 것은 2023년 6월 '수출 부진' 이후 21개월 만이다.
정부는 비상계엄 사태 직후 지난해 12월 그린북에서 '하방 위험 증가 우려가 있다'고 진단한 데 이어 넉 달 연속 경기 하방 위험 또는 압력 증가 등으로 최근 경제 상황을 파악했다. 올해 1월부터는 '우려'를 빼고 "경기 하방압력 증가"로 부정적인 수위를 높여 석 달째 유지했다.
1월 산업활동 동향 주요 지표는 동반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지난해 12월보다 2.7% 줄어들며 2020년 2월(-2.9%) 이후 4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감소세를 기록했다. 소매판매도 0.6% 줄며 내수 부진이 이어졌다. 설비투자는 14.2% 감소했다.
정부는 2월 소매판매는 신용카드 승인액 증가율 확대, 승용차 판매량 증가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았다. 2월 카드 국내 승인액은 지난해 2월 대비 6.8% 증가해 1월(1.7%)보다 증가율이 확대됐다. 2월 소비자심리지수도 95.2로 1월(91.2)보다 개선됐다.
하지만 수출 증가세 둔화가 우려된다. 2월 하루 평균 수출액은 23억9000만달러로 지난해 2월 대비 5.9% 감소했다. 정부는 세계 경제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주요국 관세부과 현실화 등 통상환경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