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직활동을 하지 않는 채 그냥 쉬고 있는 청년의 쉬는 기간은 평균 22.7개월이고, 10명 중 7명은 '쉬었음' 기간을 불안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고용정보원은 11일 서울 중구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열린 2025년도 청년고용 포럼 1차 회의에 내놓은 쉬었음 청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4년 이상 쉬는 청년은 약 11%였다. 수도권 대학이나 지방대 졸업생 간 쉬었음 비율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이들의 마지막 일자리로는 제조업(14%)·숙박음식업(12.1%)의 소기업·소상공인이 42.2%로 가장 많았다.
이번 실태조사는 1년 이상 '쉬었음' 경험이 있는 청년 318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일 경험이 없을수록, 미취업 기간이 길수록, 과거 일자리가 저임금·저숙련·불안정할수록 쉬었음 상태로 남아 있는 비중이 컸다.
쉬었음을 택한 사유는 '적합한 일자리 부족'(38.1%·중복 응답)과 '교육·자기계발'(35.0%)이 많았다. 이어 '번아웃'(27.7%), '심리적·정신적 문제'(25.0%) 순서였다.
'쉬었음 상태가 불안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77.2%에 이르렀다. 쉬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재충전의 시간'이라는 인식은 줄고, '힘든 시간, 구직 의욕을 잃게 만든 시간'이라는 인식이 늘었다.
응답자의 84.6%는 '삶에서 일이 중요하다'고 답했고, 57.3%는 '향후 더 좋은 일자리로 이직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들은 취업에 필요한 정부 지원으로 '생활비 지원'(50.6%)보다 '직업교육·훈련'(59.3%)과 '취업알선·정보제공'(54.7%)을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한국노동연구원은 수도권과 지역 간 청년 일자리 격차가 쉬었음 증가로 연결되는 문제점을 제기했다. 2010년대 일자리 분포 변화를 분석한 결과 2018년을 기점으로 청년 취업자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화했다.
특히 경남 지역 조선업 등 비수도권 제조업 침체와 수도권 지식기반산업 부상의 영향으로 2020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 비율은 31.7%까지 확대됐다. 청년 일자리가 수도권 지식기반 산업과 대면 서비스업으로 집중되면서 최근에는 이 부문에 취업했던 청년을 중심으로 쉬었음 청년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청년의 평균 임금은 수도권이 더 높았고, 2016년 이후 약 7% 이상의 임금격차가 발생했다.
이날 청년고용 포럼에 참석한 위원들은 쉬었음 청년의 불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 대상 심리상담 지원을 확대하고, 초기 단계에 개입해 장기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