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 중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처음 20%를 넘어서면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행정안전부는 23일 기준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가 1024만4550명으로 전체 주민등록 인구(5122만1286명)의 20%를 차지했다고 24일 밝혔다. 유엔(UN)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구분하고 있다.
국내 주민등록 인구에서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8년 10.02%, 2011년 11.01%, 2013년 12.03%, 2015년 13.02%, 2017년 14.02%로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2019년 15%대를 넘어섰고, 올해 1월 19.05%로 증가한 데 이어 23일 20%대에 진입했다.
65세 이상 인구는 2008년 494만573명에서 전날 1000만명을 넘어서며 16년 만에 두 배 이상 증가했다. 65세 이상 주민등록인구를 성별로 보면 남자 17.83%, 여자 22.15%로 여성 비중이 남성보다 4.32%포인트 높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은 전체 주민등록인구(2604만여명) 중 17.70%, 비수도권은 전체 주민등록인구(2517만여명) 중 22.38%로 비수도권이 수도권보다 4.68%포인트 높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광역 자치단체는 전남으로 27.18%다. 이어 경북 26.00%, 강원 25.33%, 전북 25.23%, 부산 23.87%, 충남 22.23%의 순서다.
서울은 17개 시도 가운데 10번째로 높은 19.41%다.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가장 낮은 지역은 세종으로 11.57%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