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 넘는 수주 잔고 있지만 경쟁력 유지 기본수주량 긴요 지적

올해 세계 조선 시장에서 한국의 수주 비율이 20%에 미달하며 2016년 이후 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수주량도 경쟁국인 중국의 4분의 1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업계와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11월 세계 시장에서 총 6033만CGT(표준선 환산톤수·2159척)의 신조선(새 선박)이 발주된 가운데 한국은 1092만CGT(248척)를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은 한국 수주량의 4배인 4177만CGT(1518척)의 수주했다.
국가별 수주 비율은 중국이 69%, 한국은 18%였다. 한국의 수주 비율은 세계 조선업체들이 극심한 불황으로 수주난과 구조조정을 거쳤던 2016년 (15.5%) 이후 8년 만에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주량 1위 중국과 한국의 수주량 차이는 11월말 기준 3085만CGT이고, 연간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HD한국조선해양(HD현대중공업·HD현대미포·HD현대삼호)은 올 들어 16일 현재까지 총 205억6000만달러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135억달러)를 초과 달성했다. 나머지 빅3인 삼성중공업와 한화오션도 고부가가치 선박을 중심으로 각각 68억달러, 81억5000만달러 어치를 수주했다.
조선업계는 건조 일감이 많이 남아 있긴 해도 우리나라 수주량이 조선 '빅사이클'(초호황기) 시기에 중국에 크게 밀리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 국내 조선업체들이 3년이 넘는 수주 잔고(남은 건조량)에 따라 독(건조 공간)이 꽉 차 선별 수주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세계 1위 조선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의 기본 수주는 필요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