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경상수지 흑자가 100억달러에 육박하며 반년 째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6일 발표한 '10월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10월 경상수지는 97억8000만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경상수지는 지난 4월 1년 만에 적자(-2억9000만달러)를 낸 뒤 5월(89억2000만달러)·6월(125억6000만달러)·7월(89억7000만달러)·8월(65억2000만달러)·9월(109억4000만달러)에 이어 6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올해 1∼10월 누적 경상수지는 742억4000만달러 흑자로 지난해 같은 기간(241억8000만달러)보다 500억6000만달러 늘었다.
10월 경상수지를 항목별로 보면 상품수지(81억2000만달러)가 지난해 4월 이후 19개월 연속 흑자를 유지했다. 다만 흑자 규모는 9월(104억9000만달러)과 비교해 23억7000만달러 줄었다.
수출(600억8000만달러)은 1년 전보다 4.0% 늘었다. 월간 수출액은 지난해 10월 1년 2개월 만에 전년 동월 대비 플러스(+)로 전환한 뒤 13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반도체(39.8%)·철강제품(6.8%)·승용차(5.2%)·정보통신기기(5.2%) 수출이 늘어난 반면 석유제품(-34.5%)·기계류 및 정밀기기(-4.2%) 등의 수출은 감소했다. 10월 수입액(519억6천만달러)은 지난해 10월 대비 0.7% 줄었다.
서비스수지는 17억3000만달러 적자로 집계됐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는 4억8000만달러 적자였다. 중국 국경절 연휴 등의 영향으로 여행 수입이 늘어 적자가 9월(-9억4000만달러)보다 줄었다. 운송수지는 컨테이너선 운임 하락 등의 영향으로 9월 4억달러 흑자에서 10월 2억3000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직접투자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2억8000만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22억5000만달러 각각 증가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채권을 중심으로 29억1000만달러 늘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도 채권 위주로 12억달러 증가했다.
한은은 올해 경상수지 전망치(900억달러) 달성 가능성에 대해 "10월까지 누적 흑자가 742억달러인데, 11월 통관 기준 수출입 수치 등으로 미뤄 연간 전망치에 부합하는 흑자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 전망치(800억달러)의 경우,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더라도 수입 역시 국제유가 하락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달성 가능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계엄 사태의 파장에 대해선 "경상수지 측면에서는 기본적으로 대외 여건, 수출 경기, 대외 정책 변화 등에 영향을 받는 게 큰 흐름"이라며 "지금까지는 이번 정치 이벤트가 이런 큰 흐름을 바꿀 정도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