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20%에 있는 한 채면 하위 5채 이상 살수 있어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으로 인기 지역의 고가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오르는 등 집값 양극화가 심화하며 서울 아파트 가격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가 5.5로 역대 최대 수준으로 벌어졌다.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아파트값 5분위 배율은 5.5로 2008년 12월 통계 조사 이래 최대를 기록했다. 5분위 배율은 주택가격 상위 20% 평균(5분위)을 하위 20% 평균(1분위)으로 나눈 값으로 고가 주택과 저가 주택 간의 가격 차이를 나타낸다.
5분위 배율이 5.5라는 것은 상위 20% 아파트 1채 가격으로 하위 20% 아파트를 5.5채 살 수 있다는 의미다.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은 2022년 12월 4.5에서 올해 4월 5.0으로 확대된 뒤 8·9월에는 두 달 연속 5.4였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1분위 평균은 4억9061만원, 5분위 평균은 26억8774만원이었다. 1분위 아파트는 10월(4억9011만원)보다 0.11% 오른 데 비해 5분위 아파트는 10월(26억5117만원) 대비 1.38% 상승했다.
11월 전국 아파트의 5분위 배율도 10.93으로 역시 역대였다. 지방 아파트값이 하락 해 지난달 전국 1분위 평균가는 1억1672만원으로 10월(1억1683만원)보다 0.1% 떨어졌다. 반면 5분위 평균가는 12억7623만원으로 10월(12만6829만원)보다 0.6% 상승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