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빈 회장 장남 신유열씨 부사장 올라 그룹경영 전면에 나서

유동성 위기설에 휩싸인 롯데그룹의 신동빈 회장이 실적이 악화한 화학군과 호텔군 임원들을 대거 퇴진시키고, 해외 부실 면제점에 대한 철수 등 구조조정에 나섰다.
롯데는 28일 2025년 정기 임원인사에서 최고경영자(CEO) 21명(36%)을 교체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그룹 전체 임원 22%가 퇴임하고, 전체 임원 규모가 13% 줄었다. 코로나19 사태로 백화점, 유통이 치명타를 입었던 2021년 임원인사보다 큰 폭이다.
60대 이상 임원들을 대거 퇴진시켰다. 60대 롯데 계열사 대표이사 8명(35%)을 포함해 계열사 대표이사 21명이 교체됐다. 또한 60대 이상 임원 50% 이상이 퇴임한다.
대신 1970년대생 CEO 12명을 신규로 임명하며 세대교체를 했다. 롯데면세점 김동하 대표이사, 롯데이노베이트 김경엽 대표이사, 롯데엠시시 박경선 대표이사, LC Titan 장선표 대표이사, 롯데케미칼 첨단소재 황민재 대표이사 등이 대표적이다.
세대교체는 후계 상속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신동빈 회장의 장남인 롯데 3세 신유열씨가 입사 4년 만에 고속 승진해 부사장에 올랐다. 2020년 일본 롯데에 입사한 신유열 부사장은 2022년 5월 롯데케미칼 상무보, 2023년 상무, 2024년 전무로 승진한 뒤 이번에 부사장이 됐다. 신 부사장은 바이오CDMO(의약품 위탁개발 생산) 등 신사업 정착과 핵심사업의 글로벌 시장 개척을 주도할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는 컨트롤타워를 신설했다. 그룹 전반의 사업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 혁신 드라이브를 추진하기 위해 롯데지주 경영혁신실장 노준형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했다.
신동빈 회장은 중국의 자급률 확보로 구조적 위기에 직면한 화학군과 중국인 단체관광객 급감으로 고전하는 면세점 등 유통군에 대해 문책 인사를 했다.
롯데케미칼 총괄대표로 화학군을 이끌던 이훈기 사장이 경질됐다. 그 자리는 롯데케미칼 첨단소재 대표이사 이영준 부사장이 맡았다. 롯데 화학군은 13명 CEO 중 지난해 선임된 롯데알미늄,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LC USA 등 세 곳의 대표를 제외한 10명이 교체된다.
호텔롯데는 법인 내 3개 사업부(롯데호텔, 롯데면세점, 롯데월드) 대표이사가 모두 경질됐다. 이완신 호텔군 총괄대표와 롯데호텔 대표이사가 경질되고, 그 자리를 롯데지주 사업지원실장 정호석 부사장이 맡았다. 롯데면세점은 롯데지주 HR혁신실 기업문화팀장 김동하 상무가 전무로 승진해 신임 대표이사로, 롯데월드는 권오상 신규사업본부장 전무가 신임 대표이사로 각각 내정됐다.
롯데는 실적이 부진한 면세사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해외에서 운영 중인 면세점 가운데 경영 상태가 부실한 점포에 대한 철수를 검토하기로 했다. 회사채 위기가 불거진 롯데케미칼은 저수익 자산 매각에 나선다. 2조450억원 규모 회사채와 관련해선 롯데월드타워를 담보로 은행 보증을 보강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