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전지나 신재생에너지, 인공지능(AI), 로봇 등 유망 테마 사업에 새로 진출한다고 공시한 기업 10곳 중 3곳에서 관련 사업 추진 실적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파악돼 투자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7월~올해 6월말 사이 주요 7개 테마 업종을 사업목적에 추가한 회사는 총 131개사인데 2차전지를 추가한 곳이 56개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신재생에너지(41개), 인공지능(28개), 로봇(21개), 가상화폐·대체불가토큰(NFT) (19개), 메타버스(9개), 코로나(2개)의 순서였다.
금감원이 지난해 주요 7개 테마업종을 사업목적으로 추가한 86개사의 반기보고서를 점검·분석한 결과 사업추진 내역이 전무한 곳은 27개(31.4%)에 이르렀다. 코스피 상장사가 3개, 코스닥 상장사가 24개였다. 조직·인력 구성, 연구개발 활동 내역, 제품·서비스 개발 진행, 실제 매출 발생 중 어떤 추진 실적도 발견할 수 없었다.
27개사 중 11개사는 미추진 사유 기재마저 누락했다. 나머지는 '검토 중'(5개), '경영환경 변화'(4개) 등을 사유로 기재했다.
이들 기업은 최근 3년 연속 영업손실(13개, 48.1%) 및 자본잠식(7개, 25.9%) 등 열악한 재무 상황을 드러냈다. 최대주주가 변경된 경우도 13개 기업(48.1%)이나 됐다.
횡령·배임, 감사의견 거절 등으로 관리종목 지정 또는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9개, 33.3%)한 곳도 있었다.
금감원은 사업목적에 유망 테마사업 등을 추가해 시세조종 등 불공정거래에 시도하는 사례를 막기 위해 신사업 진행 경과를 정기보고서에 기재하도록 공시 서식을 개정했다. 또한 이를 기업들이 이행하고 있는지 신사업 진행상황 공시 점검 및 사업진행 실태 분석을 하고 있다.
금감원이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말까지 정관에 사업목적을 추가·삭제·수정한 178곳, 지난해 점검 시 기재 부실이 심각했던 146곳 등 총 324개 기업의 반기보고서를 점검·분석한 결과 사업목적 현황과 변경 내용, 추진 현황 등 공시 작성 기준을 모두 충족한 회사는 절반에 못 미치는 145개사(44.8%)였다. 179개사(55.2%)는 최소 1개 이상 세부 점검항목에서 기재가 미흡했다.
금감원은 공시 기준에 미흡한 179곳에 보완을 지시하고, 사업추진 내역이 전무한 27곳에는 자금 조달 시 신사업 진행 실적 등을 중점 심사하기로 했다. 신사업 발표 직후 주가 급등 시 최대주주 관련자 등이 주식을 매도하고, 사업 추진은 사실상 철회하는 등의 부정거래 혐의가 발견된 기업에는 조사·회계 감리를 통해 엄중 대처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