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생활비 부담이 늘면서 1인 가구 살림살이가 팍팍해졌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16일 내놓은 '2024년 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수도권·광역시에 거주하며 독립적인 경제활동을 하는 25∼59세 남녀 1인 가구 2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온라인)한 결과, 54.8%가 "부수입 활동을 한다"고 답했다. 2022년 같은 조사(42.0%)와 대비 부수입 활동 비율이 12.8%포인트(p) 높아졌다.
부업을 하는 이유는 여유·비상 자금 마련(38.7%), 시간적 여유(18.7%), 생활비 부족(13.2%)의 순서였다. 부업의 종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광고를 시청하거나 임무를 수행하고 보상을 얻는 '앱테크' 비중이 42.1%로 가장 높았다. 이어 소셜 크리에이터·블로거(6.2%), 서비스직 아르바이트(3.8%) 순서였다.
조사 대상의 연평균 소득은 3780만원으로 집계됐다. 월 소득 중 주거비·식비·여가비 등 생활비로 평균 40.8%를 지출했다. 이밖에 소득의 12.6%를 대출 상환에, 30.3%를 저축하는 데 썼다.
생활비 지출 비중은 2년 전보다 2.1%p, 대출 상환 비중은 1.8%p 늘어난 반면 저축 비중은 변화가 없었다. 여유자금 비중은 같은 기간 20.1%에서 16.2%로 3.9%p 줄었다. 고물가·고금리 여파로 생활비와 대출 상환 부담이 늘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는 방증이다.
1인 가구는 하루 평균 1.8끼 식사를 한다고 답했다. 하루 평균 2끼 식사를 하지 않는 것이다. 2022년(평균 2.2끼)보다 0.4끼 줄었다.
1인 가구의 금융자산을 종류별로 보면 유동성 자산(현금·수시입출금·CMA 등)이 40.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예·적금(36.2%), 주식·ETF·선물·옵션(15.0%)의 순서였다. 2022년과 비교해 유동성 자산과 예·적금을 포함한 안정형 자산 비중이 7.8%p 커졌다.
대출 보유율이 54.9%로 2년 전보다 7.2%p 오른 가운데 가구당 평균 대출 잔액은 9900만원에서 7800만원으로 줄었다.
부동산 자산을 보면 1인 가구의 45.1%가 월세로 거주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전세거주자가 30.0%였고, 자가 거주자는 21.8%에 머물렀다. 2022년과 비교해 월세 비율이 8.9%p 오른 반면 자가와 전세는 각각 6.2%p, 2.1%p 내려갔다.
절반 이상 부업을 뛰며 여윳돈도 줄었지만, 1인 가구의 71.2%는 "1인 생활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1인 생활 만족률은 2022년(68.2%)보다 높아졌다.
이를 연령·성별로 나눠보면 20·30대 여성 그룹의 만족률이 83.5%로 가장 높았다. 이어 40·50대 여성(72.6%), 20·30대 남성(70.2%), 40·50대 남성(61.1%)의 순서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