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내수 침체에 따른 자영업자 감소 여파로 넉 달 만에 다시 10만명 아래로 내려갔다. 게다가 대기업들도 수출 부진 및 내년 경기 침체 전망에 따라 희망퇴직 등 구조조정을 하고 있어 고용 한파가 더욱 매서워질 전망이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 10월 15세 이상 취업자는 2884만7000명으로 지난해 10월 대비 8만3000명 증가에 그쳤다. 취업자 수 증가 폭이 10만명을 밑돈 것은 6월(9만6000명) 이후 4개월 만이다.
월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1~2월 30만명대를 이어가다 꺾여 7월(17만2000명), 8월(12만3000명), 9월(14만4000명) 석 달 연속 10만명대를 유지했었다.
10월 취업자를 업종별로 보면 도소매업에서 14만8000명 줄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절정기였던 2021년 7월(-18만6000명) 이후 3년 3개월 만에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8개월 연속 감소 행진이다.
제조업 취업자도 3만3000명 줄었다. 지방 부동산 경기 침체 여파로 건설업 취업자도 9만3000명 감소하며 6개월 연속 감소행진을 이어갔다. 농림어업 취업자도 6만7000명 줄며 6개월 연속 감소했다.
이와 달리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9만7000명), 교육서비스업(8만4000명), 전문과학·기술서비스업(7만7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증가했다. 금융 및 보험업에서도 2만4000명 늘었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에서 25만7000명 늘며 증가세를 주도했다. 그러나 청년층(15∼29세) 취업자는 18만2000명 줄며 24개월 감소 행진을 이어갔고, 40대도 7만2000명 줄었다.
10월 실업자는 67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5만1000명 늘며 4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실업률은 0.2%포인트 상승한 2.3%로 집계됐다.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비경제활동인구는 1608만2000명으로 전년보다 2만1000명 늘었다.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는 '쉬었음' 인구가 20만7000명 늘어나 10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 증가세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