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유화학 업계의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실적이 부진한 롯데지주와 롯데케미칼, 롯데정밀화학 등 화학군 계열사 임원들이 책임경영 차원에서 11월부터 급여 일부를 자진 반납한다.
롯데지주는 글로벌 경기침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비상 경영 체제로 운영 중이다. 롯데 화학군은 업황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다.
재계와 유통·화학업계 등에 따르면 롯데지주 임원은 이달부터 급여의 20∼30%를, 롯데 화학군 계열사 임원들은 급여의 10∼30%를 자진 반납한다. 급여 자진 반납이 얼마 동안 이어질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롯데케미칼은 연결 기준 3분기 영업손실이 4136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영업이익 426억원)와 비교해 적자 전환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지난 7일 공시했다. 매출은 5조2002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5.6% 증가했다.
롯데정밀화학의 연결 기준 3분기 매출은 4204억원으로 4.8%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03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70.7%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롯데는 경영환경 변화에 대응하며 사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롯데면세점은 지난 6월, 롯데케미칼은 7월부터 각각 비상 경영에 돌입했다. 롯데지주도 경영 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각 계열사의 경영 활동 지원을 늘리는 등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8월부터 비상 경영 체제로 전환했다. 인력 운영의 효율화를 위해 롯데온(6월)과 롯데면세점(8월), 세븐일레븐(10월)이 희망퇴직을 시행한 데 이어 롯데호텔앤리조트도 오는 22일까지 희망퇴직 신청을 받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