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가 내년 상반기에 질문 한 번에 요약부터 출처와 후기까지 사용자가 신뢰할 만한 답변을 한 화면에 보여주는 지금보다 업그레이드된 생성형 인공지능(AI) 검색 서비스를 선보인다. 네이버는 1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통합 콘퍼런스 '단 24'를 열고 AI 기술 상용화 방안을 공개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기조연설을 통해 "지난해 세계 3번째로 개발된 초거대 AI '하이퍼클로바'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했고, 이후 1년간 테스트 결과 상용화 단계로 들어섰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네이버가 보일 방향성은 전 서비스에 AI를 녹여내는 것으로 이를 '온 서비스 AI'로 부르기로 한다"며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허물고 직관적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서비스의 가능성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현재의 통합 검색 기능에 AI와 개인화 추천 기술을 결합한 생성형 AI 검색 기능 'AI 브리핑'을 내년 상반기 중 내놓는다. '롱테일(문장형) 키워드'를 비롯해 외국어 키워드에 우선 적용되는 AI 브리핑은 좋은 답변을 넘어 믿을 만한 출처도 함께 제공한다.
예컨대 '19개월 아기가 잠만 자요'라는 문장형 검색에 맞는 내용을 요약해 제공하고 출처 문서를 바로 이어 첨부함으로써 필요한 구체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네이버는 질문을 관찰해 사용자의 궁금증을 능동적 질문으로 생성하는 '유저 인사이트',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깊이 있게 발전시켜 팩트체크까지 연결하는 '오토 브라우징' 등 기능으로 AI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네이버 지도는 3차원 기능을 강화한 '거리뷰3D' 서비스로 진화한다. 증강현실(AR) 내비게이션, 실내 지도, 가상현실(VR) 실내 투어 등 기능도 새로 선보인다. 거리뷰3D로 갈 곳을 미리 살펴보고 도착해서는 AR 내비게이션을 통해 원하는 곳까지 입체적 길찾기를 구현한다.
네이버는 내년 상반기에 AI 쇼핑앱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모바일앱을 출시하고, 배송 포트폴리오를 '지금배송', '새벽배송', '희망일 배송' 등 시간 단위로 세분화한 '네이버배송'을 선보일 계획이다.
네이버는 상생 플랫폼을 AI 생태계로 확대하기 위해 '임팩트 펀드'를 조성해 6년간 1조원을 투자하고, 비영리 교육기관인 '네이버 커넥트 재단'을 통해 앞으로 5년간 600억원을 투자해 AI 인재를 육성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