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3분기 반도체 사업에서 4조원에 못 미치는 영업이익을 냈다. PC와 모바일 수요 회복 지연에 따른 재고 조정과 중국산 범용 D램 물량 확대로 가격 하락 압박이 커진 데다 인공지능(AI) 반도체 핵심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공급이 지연된 탓이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3분기 영업이익이 9조1834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277.37%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79조987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7.35% 증가했다. 종전 분기 최대 매출인 2022년 1분기(77조7800억원) 실적을 웃돌았다. 순이익은 10조1009억원으로 72.84% 늘었다.
3분기 실적을 부문별로 보면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매출 29조2700억원, 영업이익 3조8600억원을 기록했다. 시장에선 잠정 실적 발표 이후 눈높이를 낮춰 DS 부문이 4조2000억원 안팎의 영업이익을 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보다 낮았다.
2분기 대비 고대역폭메모리(HBM), DDR5 등 고부가 제품 매출이 증가했으나 재고 평가손 환입 규모 축소와 인센티브 충당 등 일회성 비용, 달러화 약세 영향 등으로 영업이익은 감소했다. 시스템LSI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사업부도 전 분기 대비 실적이 하락했다.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3분기 매출 44조9900억원, 영업이익 3조3700억원을 기록했다. 모바일경험(MX) 사업부가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로 전 분기 대비 매출 및 영업이익이 성장했다. 재료비 인상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했다.
영상디스플레이(VD)사업부는 네오 QLED, OLED, 대형 TV 등 전략 제품 판매에 주력하는 한편 서비스 사업 매출을 확대해 전년 동기 및 전 분기 대비 매출 및 이익이 모두 증가했다. 생활가전은 '비스포크 AI' 신제품 중심으로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확대해 전년 동기 대비 실적이 개선됐다. 하만과 삼성디스플레이는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3분기에도 연구개발(R&D)에 역대 최대인 8조8700억원이 집행됐다. 삼성전자는 "R&D 비용은 매 분기 기록을 경신하며 기술 중심 투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의 1∼3분기 누적 매출은 225조원으로 올해 연간 매출은 사상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최대는 2022년 302조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