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인천 지역에서 서울 지역 부동산을 가장 많이 사들인 구매자는 경기 성남시 분당구 거주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정보 포털 직방이 대법원 등기정보 광장 자료를 토대로 올해 서울 소재 집합건물(아파트·오피스텔·다세대주택)을 매수한 경기·인천 거주자 1만9343명을 분석해 21일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분당 거주자 1220명이 서울 주택을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경기 남양주시 거주자(1174명)가 많았다. 이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1062명, 하남시 902명, 화성시 877명, 부천시 871명, 김포시 869명의 순서로 집계됐다.
분당 거주자들은 주로 서울 강남권역 주택을 매수했다. 서울 송파구 소재 집합건물 매수자가 175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강남구 174명, 서초구 139명, 강동구 105명의 순서였다.
직방은 "생활권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 지역을 선호하는 동시에 상급지 갈아타기 수요가 더해진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남양주시 거주자들이 많이 매수한 지역은 강동구(146명), 성동구(139명), 중랑구(133명), 노원구(80명), 송파구(78명) 등 남양주시와 비교적 가까운 지역이다. 강동구의 경우 지난 8월 지하철 8호선 별내역 연장으로 남양주시와 접근성이 개선됐다.
고양시 덕양구 거주자들의 매수 지역은 은평구(182명), 마포구(97명), 서대문구(91명), 강서구(85명) 순서로 많았다. 서울 강북 도심권과의 접근성을 고려한 선택으로 보인다. 하남시 거주자도 지리적으로 가까운 강동구(283명), 송파구(155명)에 매수가 집중됐다.
화성시 거주자의 매수 지역은 송파구(90명), 서초구(70명), 강남구(67명) 순서였다. 화성시 거주자의 경우 동탄신도시 등 지역 아파트값이 회복되자 강남권역으로 갈아타기 수요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연구시설 등 대기업이 위치한 점을 볼 때 투자 목적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