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익도 9조원 넘어…메모리반도체는 기대에 미흡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이 9조1000억원으로 시장 예상(10조3000억원)을 밑도는 '어닝 쇼크'로 받아들여졌다.
삼성전자는 8일 연결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9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274.49%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79조원으로 지난해 3분기 대비 17.21% 증가했고, 2022년 1분기(77조7800억원)를 뛰어넘어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삼성전자의 3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친 것은 스마트폰과 PC 판매 부진으로 메모리 모듈 업체들의 재고 수준이 12∼16주로 증가하며 메모리 출하량과 가격 상승이 예상을 밑돌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인공지능(AI)·서버용 메모리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가 경쟁업체 대비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
삼성전자는 이날 설명 자료를 통해 "메모리 사업은 서버와 HBM 수요 견조에도 일부 모바일 고객사의 재고 조정 및 중국 메모리 업체의 범용(레거시) 제품 공급 증가의 영향을 받은 가운데 일회성 비용과 환(율) 영향 등으로 실적이 하락했다"며 "HBM3E의 경우 예상 대비 주요 고객 사향 사업화가 지연됐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디바이스경험(DX)은 플래그십 스마트폰 판매 호조, 디스플레이(SDC)는 주요 고객사 신제품 출시 효과로 일부 개선됐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 반도체 수장인 전영현 DS부문장(부회장)은 이날 잠정실적 발표 후 이례적으로 사과 메시지를 내고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로 근원적인 기술 경쟁력과 회사의 앞날에 대해서까지 걱정을 끼쳐 송구하다"며 "지금 저희가 처한 엄중한 상황을 꼭 재도약의 계기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