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을 2.6%에서 2.5%로 낮췄다. 수출이 강한 회복세를 보이지만 고금리가 예상보다 길어지면서 내수가 부진해 경기 회복이 더딜 것으로 판단해서다.
KDI는 8일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5월 2.6%에서 2.5%로 0.1%포인트 낮췄다. 올해 수출 증가율은 기대 이상의 반도체 수출 호조로 기존 5.6%에서 7.0%로 1.4%포인트 높였다.
하지만 민간소비는 기존 1.8%에서 1.5%로 0.3%포인트 낮췄다. 고금리 장기화를 주요인으로 꼽았으나 급등한 물가에 따른 소비여력 감소, 위험수위를 넘어선 가계부채, 자영업 위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 것이다.
설비투자 증가율 전망도 2.2%에서 0.4%로 1.8%포인트 낮췄다. 중국의 중간재 생산라인 구축에 따른 석유화학, 철강 등 구조적 위기에 따른 투자 기피와 글로벌 전기차 수요 위축에 따른 이차전지 투자 축소 및 지연 등을 반영했다. 다만 건설투자는 수도권 중심으로 부동산경기가 살아나면서 감소폭을 기존 -1.4%에서 -0.4%로 축소했다.
이처럼 예상보다 저조한 성장률은 고용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기업들이 경제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투자와 신규 채용을 기피하고 있다. 일부 한계 및 위기 업종과 대기업에서 직원을 감원하고 있다. 이를 반영해 KDI는 올해 취업자 수 증가 폭을 기존 24만명에서 20만명으로 줄였다. 연간 실업률은 2.8%를 유지했다.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은 2.4%로 기존 2.6%보다 0.2%포인트 낮췄다. 경상수지는 수출 호조와 국제 원자재값 하락세를 반영해 기존 전망(703억달러)보다 흑자 폭이 확대된 770억달러로 예상했다.
KDI는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은 기존 2.1%를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