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책 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최근 경제 상황에 대해 "경기 개선세가 다소 미약하다"고 진단했다. 고금리 상황에서 내수 회복세가 더디다고 본 것으로 경기 회복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는 정부 평가와 달라 주목된다.
KDI는 8일 발표한 '7월 경제동향'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높은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세는 가시화되지 못하면서 경기 개선세가 다소 미약한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그동안 내수 부진에도 수출 회복세가 이끌어 경기가 좋아지고 있다고 진단한 데서 표현이 약해졌다.
KDI는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자 지난해 10월부터 '경기 부진이 완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8개월간 비슷한 진단을 유지하다가 수출 증가세가 강해지자 6월에는 "경기가 다소 개선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그러다 이달에 다시 '경기 개선이 미약하다'고 표현 강도를 낮췄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5월 산업활동 동향 지표들이 부진한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KDI는 "고금리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내수는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며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는 가운데 소매판매, 설비투자, 건설투자가 모두 감소세를 나타냈다"고 분석했다.
상품 소비는 대부분 품목에서 감소폭이 확대되며 위축됐다. 5월 소매판매는 지난해 5월 대비 3.1% 줄며 4월(-2.2%)보다 감소폭이 커졌다. 서비스업 생산 중 소비와 밀접한 도소매업(-1.4%)과 숙박·음식점업(-0.9%)도 감소세가 이어졌다.
설비투자도 고금리 여파로 부진한 상태가 지속됐다. 5월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중심으로 감소폭이 확대되면서 지난해 5월 대비 5.1% 감소했다. 건설투자도 부진했다. 5월 건설기성(불변)은 4월(-0.1%)보다 낮은 -3.8% 감소했다.
수출이 정보통신기술(ICT) 품목을 중심으로 호조세가 이어졌는데도 5월 생산지표는 조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5월 전(全)산업생산은 지난해 5월보다 2.2% 늘며 4월(3.3%)보다 증가세가 위축됐다. 4월과 비교하면 0.7%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