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 소재·부품 협의체를 열고 '5대 첨단 방산 분야 소재·부품 개발 로드맵' 확정

정부가 K-방위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우주, 인공지능(AI), 유무인 복합, 로봇, 반도체 등 5대 분야 소재·부품 기술 개발을 집중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방위사업청은 20일 경기도 의왕시 현대로템 기술연구소에서 제1차 방산 소재·부품 협의체를 열고 '5대 첨단 방산 분야 소재·부품 개발 로드맵'을 확정했다. 산업부와 방위사업청은 지난해 6월 방산 소재·부품 협력 양해각서(MOU)를 맺고 60대 핵심기술 발굴을 위한 연구개발(R&D)을 추진해왔다.
정부는 이날 우주, AI, 유무인 복합, 로봇, 반도체 등 5대 첨단 방산 분야에서 핵심기술 60개를 선정해 기술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국산화 파급 효과가 높은 방산 소재·부품 기술을 우선 개발하기로 했다.
개발이 추진되는 핵심 기술은 민·군간 공동 활용성과 수출 기여도가 높은 첨단 항공 엔진 소재, 세계 최고 수준의 차세대 전차용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무인기 탑재용 다대역 송수신 모듈 등이다.
산업부는 "5대 분야에 걸친 60개 핵심기술에 대한 자세한 목록과 기술개발 계획 등 구체적인 로드맵은 보안 상 모두 공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