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미국 정부가 대(對)한국 무역적자를 이유로 한국산 차량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국책 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은 10일 내놓은 '미국 대선에 따른 한국 자동차산업의 영향' 보고서에서 를 통해 이같이 예상했다.
산업연구원은 "자동차산업은 미국에서도 매우 중요한 산업이어서 정치적 성향이나 대통령의 특성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을 수 있다"며 "미국에 크게 의존하는 수출구조를 다변화하고, 미국 수입시장에서 수출 및 현지 생산을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자동차 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2.9%였다. 완성차 수출에 있어 미국 의존도는 45.4%, 전기차 수출에서 미국 비중은 35%였다. 특히 전기차 수출 증가율은 2019∼2023년 연평균 56.2%, 같은 기간 대미(對美) 전기차 수출 증가율은 연평균 88%에 이르렀다. 한국 자동차산업은 지난해 미국과의 교역에서 289억달러 흑자를 냈다.
산업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조 바이든 대통령 재집권 시 한국 업체들의 전기차 판매 호조가 예상된다. 환경 규제로 인해 미국 내 전기차 수요가 증가하면서 경쟁 우위를 지닌 한국 자동차 판매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반면 트럼프 재집권 시에는 미국 자동차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보편적 관세' 대상 국가에 한국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 시 수출 물량이 현지 생산 물량으로 대체되면서 자동차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처럼 우리나라 자동차 수출이 미국의 정책이나 시장 동향 변화에 따라 큰 영향을 받을 것이므로에 미국 대선 리스크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산업연구원은 "전기차 외 하이브리드차, 수소전기차 등 다양한 탄소중립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규제와 시장, 공급망 요인에 따른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