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연 3.50%인 우리나라 기준금리의 인하 시점으로 3분기는 어렵고 10월이나 11월께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께 금리를 인하하면 한은이 뒤따라 낮출 것이라는 시장 관측이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5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올해 4분기까지 늦출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등에 따른 내수 부진 우려에도 미국의 조기 금리인하 기대 약화, 예상을 상회한 1분기 경제성장률, 원화가치 약세 부담 등을 고려할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시각도 비슷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5월 23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보고서를 낸 IB 7곳 가운데 골드만삭스 씨티 BNP파리바 등 3곳은 3분기부터, 노무라 모건스탠리 JP모건 소시에테제네랄 등 4곳은 4분기부터 한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한은도 물가 상방 압력에 따른 금리인하 지연 가능성을 내비쳤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5월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하반기 중 기준금리를 인하해도 그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은 4월에 비해 훨씬 커졌다"고 말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시장 전망은 3분기가 지배적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글로벌 IB 7곳 가운데 바클레이즈 HSBC 씨티 골드만삭스 JP모건 등 5곳은 3분기부터, 뱅크오브아메리카 BNP파리바 등 2곳은 4분기에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