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이 아프리카 대륙에서 핵심 광물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한 상설 협의체가 구성된다.
윤석열 대통령은 4일 경기도에서 주재한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서 아프리카 48개국의 정상 또는 국가 대표와 '한-아프리카 핵심광물 대화'를 출범하기로 합의했다. 아울러 이를 골자로 한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과 아프리카가 출범시키는 '핵심광물대화'는 호혜적 협력을 통해 공급망의 안정을 꾀하면서 전 세계 광물자원의 지속 가능한 개발에도 기여하는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들은 경제동반자협정(EPA)과 무역투자촉진프레임워크(TIPF) 체결을 통해 호혜적 교역과 투자 협력을 더욱 확대해 '동반 성장'을 이뤄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아프리카 각국의 실질 수요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유무상 원조 체제를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으며, 이를 위해 2030년까지 100억 달러 수준으로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국 기업의 아프리카 진출을 도모하기 위해 140억달러 규모의 수출금융도 관련 기업에 제공할 것"이라며 "이를 토대로 우리의 우수한 기업들이 아프리카에 활발하게 진출해 지속가능한 인프라 확충에 기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은 아프리카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꾀해 글로벌 도전 과제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윤 대통령은 "각국 정상과 대표들은 기후변화라는 지구적 위협에 함께 대응하기 위해 아프리카의 기후대응 수요를 반영한 기후금융구조를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아프리카가 당면한 식량안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K-라이스벨트와 같은 식량 자급자족 역량 강화 사업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