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처세대'(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로 불리는 1960년대생 3명 중 1명 꼴로 자신이 고독사할 것을 걱정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이사장 김용익)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5월 8~15일 1960년대생(만 55~64세) 980명을 대상으로 웹·모바일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0.2%는 스스로가 고독사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특히 이렇게 걱정하는 비율은 월 소득 200만원 미만 저소득층에게서 49.9%로 높았다.
'386세대'로 불리는 1960년대생은 850만명으로 우리나라 인구의 16.4%를 차지한다. 710만명인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보다 더 많다. 내년부터 가장 이른 1960년생을 시작으로 65세 이상 법적 노인연령에 접어든다.
응답자의 29%는 본인이나 배우자의 부모와 함께 살고 있었다. 부모가 있는 경우 44%가 월평균 73만원의 용돈을 주고 있었다. 49%는 '부모가 편찮아서 돌봄이 필요하다'고 했고, 이 중 32%는 '부모를 직접 돌보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응답자의 4%는 자녀에게 월평균 88만원의 경제적 도움을 주고 있었다. 게다가 응답자의 15%는 부모와 자녀 양쪽 모두를 부양하는 '이중부양'을 하며 양쪽 부양에 월평균 164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2%인 퇴직자 중 54%가 재취업 또는 창업해 일하고 있었다. 일하는 경우 평균 2.3개 일자리를 갖고 있었다. 이들은 일을 하는 이유로 '아직 더 일할 수 있는 나이라고 생각'(37%), '가계의 경제적 필요'(29%), '일하는 삶이 더 보람있다'(17%) 등을 꼽았다.
노후 책임을 누가 져야 하는지에 대해 89%가 '본인'이라고 답했지만, 현재 노후를 준비하고 있다는 경우는 62%에 머물렀다. 노후준비 방법(복수 응답)으로는 국민연금(80%)를 꼽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퇴직 후 소득이 없지만 연금을 받지 못하는 '소득절벽'에 대해서는 81%가 "걱정된다"고 답했다.
자녀의 부양을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첫 세대인 만큼, 응답자들은 대부분 노년 돌봄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86%는 '노인, 장애인, 환자에게 국가와 사회가 제공하는 돌봄서비스를 지금보다 확대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노년에 돌봄이 필요할 때 원하는 곳으로 '살던 집'(52%)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고, 58%는 '노인요양시설에 입소하고 싶지 않다'고 응답했다. 임종을 원하는 곳으로 46%가 '내가 사는 집'을 택했지만, '실제로 그렇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30%로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