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4년간 국내 이공계 대학 졸업 이상 인력 증가율이 과학기술 분야에서 고용된 인력 증가율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8일 내놓은 '최근 과학기술인력의 고용 특성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매해 4월 기준 국내 과학기술인력 규모는 2020년 163만3000명, 2021년 169만1000명, 2022년 179만1000명, 지난해 196만1000명으로 연평균 5.3% 증가했다. 2020~2023년 4년간 20% 늘어났다.
이와 비교해 국내 이공계 대학 졸업 이상 인력, 즉 학사·석사·박사 학위 소지자 증가 폭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이공계 대졸 이상 인력은 2020년 495만1000명, 2021년 505만6000명, 2022년 515만4000명, 지난해 566만명으로 연평균 3.6% 늘었다. 2020~2023년 4년 동안 14.3% 증가했다.
이에 대해 대해경총은 "과학기술 분야 고등교육 인력 양성이 일자리 창출 속도를 따라오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국내 과학기술인력 가운데 공학 전문가는 지난해 4월 기준 73만6000명으로 2020년대비 23.3% 증가했고,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는 40만1000명으로 19% 늘었다. 자연과학·사회과학 전문가 등을 아우르는 과학 전문가는 10만3000명으로 4년 새 32% 증가했다.
분야별 인력 미충원율을 살펴보면 ICT 분야 미충원율(26.7%)이 과학(9.3%), 공학(18.8%) 분야보다 높았다. 이는 ICT 직종에선 지원자가 많아도 기업이 원하는 인력이 부족해 채용이 수월하지 않음을 보여준다고 경총은 분석했다.
ICT 전문가와 공학 전문가 가운데 여성 비율은 각각 16.4%, 12.4%에 머물렀다. 또한 공학 전문가의 경우 고령화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경총은 "대학교육 시스템 혁신, 청년·여성 인력 활용 확대, 첨단산업 규제 혁파를 포함한 다각적인 인재 육성 정책 및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