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이 '한국' 하면 떠올리는 술은 '소주', 음식은 '비빔밥'으로 조사됐다.
한식진흥원이 10일 발표한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외국인 응답자의 41.1%(중복 응답)가 한국 술로 '소주'를 알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한식 간편식을 먹어본 외국인들이 가장 먹고 싶어 하는 메뉴로 비빔밥(22.8%)이 꼽혔다.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는 지난해 8∼10월 16개국 18개 도시에서 현지인 20∼59세 9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국 술에 대한 인지도 조사에서 외국인들은 소주에 이어 맥주(31.6%), 과실주(22.8%), 청주(17.9%), 탁주(14.5%) 등 순서로 응답했다. 해당 조사에서 '한국 술'은 전통주가 아닌 한국 회사가 제조한 주류다.
지역별로 '소주를 알고 있다'는 응답자 비중은 동남아시아가 62.7%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북미와 유럽에서 소주를 일고 있다는 응답은 각각 33.0%, 20.6%였다.
앞으로 한국 주류를 마실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 비중은 전체의 57.7%로 2022년 조사(53.4%) 대비 4.3%포인트 높아졌다. 지역별로 동남아시아(65.5%), 북미(59.3%), 오세아니아·중남미·중동(58.4%), 동북아시아(55.8%), 유럽(47.7%) 순서였다. 특히 북미 지역의 경우 2022년(47.2%)보다 12.1%포인트 상승했다.
한국 술을 알고 있다는 4839명에게 최근 2년간 마셔본 적 있는 한국 술(중복 응답)을 묻자 소주가 47.9%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맥주 36.2%, 과실주 24.1%, 청주 18.1%, 탁주 13.2% 순서였다.
한국 술을 마시는 이유로 35.1%(중복 응답)가 '맛이 있어서'라고 답했다. 이어 '추천을 받아서'(16.0%), '한국 드라마·영화에서 접해서'(15.5%), '향이 좋아서'(11.6%)의 순서였다.
한식 간편식에 대해선 응답자의 39.2%가 잘 알고 있다고 답했다. 지역별 한식 간편식 인지율은 동남아시아 60.6%로 가장 높았다. 이어 동북아시아(52.7%), 오세아니아·중남미·중동(28.2%), 북미(26.1%), 유럽(20.7%) 순서였다.
한식 간편식을 먹어본 외국인 408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장 먹고 싶은 한식 간편식 메뉴는 비빔밥(22.8%)이 1위로 꼽혔다. 이어 김밥(19.1%), 김치볶음밥(13.0%), 라면(11.5%), 자장면(4.9%)의 순서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