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2%에서 2.6%로 높이고,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2.7%에서 2.6%로 낮췄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2일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2월 전망했던 2.2%에서 2.6%로 0.4%포인트 높였다. OECD의 성장률 전망은 국제통화기금(IMF·2.3%), 정부(2.2%), 한국개발연구원(2.2%), 한국은행(2.1%) 등 다른 주요 기관보다 높다.
OECD는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2.9%에서 3.1%로 상향 조정했다. 특히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1%에서 2.6%로 크게 높였다.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4.7%에서 4.9%로 상향 조정했다.
OECD는 "한국 경제가 견고한 반도체 수요 등에 따른 수출 호조에 힘입어 일시적 소강 국면(soft patch)에서 벗어나 성장세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와 투자도 단기적으로는 고금리·고물가의 영향을 받겠지만 연내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OECD는 내년 한국경제 성장률 전망치도 2.1%에서 2.2%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7%에서 2.6%로 0.1%포인트 낮춰 잡았다. 최근의 식료품 가격 압력과 에너지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연말로 갈수록 물가 상승세가 완화되면서 목표치(2.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OECD는 금리와 관련해선 연말까지 정책금리가 현 수준(연 3.5%)을 유지한 뒤 내년 중반에 2.5%까지 점진적으로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다.
기획재정부는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2.6%)는 주요 20개국(G20) 중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달러 이상인 국가 중 미국(2.6%)과 함께 가장 높은 수치"라며 "세계교역 개선세 등에 힘입은 수출의 견조한 흐름과 내수 회복의 뒷받침을 통해 한국 경제의 성장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