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초등학생(7∼11세) 남자와 여자의 평균 키가 10년 전보다 각각 4.3㎝, 2.8㎝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성장 고점(高點)기도 남자 14∼15세, 여자 13∼14세로 10년 전보다 약 2년 당겨졌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이 2일 발표한 사이즈코리아 조사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연령(7∼11세)의 평균 키는 직전 2013년 조사보다 남자 4.3㎝, 여자 2.8㎝ 커졌다. 중학교 연령(12∼14세)의 평균 키는 남자 7.4㎝, 여자 3.3㎝, 고등학교 연령(15∼17세)은 남자 2.2㎝, 여자 1.9㎝ 커졌다.
성장 고점기는 직전 조사에 비해 남자는 16∼17세에서 14∼15세로, 여자는 15∼16세에서 13∼14세로 변화했다. 10년 전보다 성장 속도가 2년 정도 빨라졌다.
기술표준원은 지난해 4∼12월 7∼19세 아동·청소년 1118명(남자 571명·여자 547명)을 대상으로 인체치수를 조사했다. 3차원 스캐너를 활용해 키, 몸무게, 다리·팔 길이, 허리둘레 등 314개 항목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직전 6차 조사(2011∼2013년)보다 평균 몸무게는 남녀 모두 증가했다. 초등학교 연령의 평균 몸무게는 남자 3.0㎏, 여자 1.1㎏ 증가했다. 중학교 연령은 남자 5.1㎏, 여자 1.3㎏ 늘었다. 고등학교 연령도 남자 4.4㎏, 여자 2.8㎏ 증가했다.
하반신의 길이 비율을 나타내는 허리높이 비율(허리높이/키)은 감소했다. 허리의 위치가 예전보다 낮아졌다는 의미다. 6차 조사 대비 중학교 연령의 평균 허리높이 비율은 남녀 각각 3.1%, 2.5% 감소했다. 샅높이(바닥면에서 사타구니까지의 수직 거리) 비율 도 남녀 각각 0.5%, 0.9% 감소했다. 기술표준원은 "과거에 비해 허리가 길어지면서 상체 비율이 증가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비만도를 의미하는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6차 조사 대비 남자가 20.7에서 21.4로, 여자는 19.8에서 20.0으로 증가했다. 전체 남녀 평균값은 모두 표준체중인데, 남자 18∼19세는 평균 23.6%가 과체중·경도비만·중도비만에 해당했다.
과체중 이상의 비만도 판정을 받은 비율은 전 연령 기준 남자 20.7%, 여자 14.3%로 남자의 비만도가 여자보다 높았다. BMI 23∼24.9는 과체중, 25∼29.9는 경도 비만, 30 이상은 중도 비만으로 구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