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 달 만에 2%대로 내려갔지만,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는 여전했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9(2020년 100 기준)로 지난해 4월 대비 2.9% 올랐다. 3월과 비교해선 변동이 없었다. 이에 따라 월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월과 3월(각 3.1%) 3%대를 기록한 후 석 달 만에 2%대로 내려갔다.
그러나 체감물가 수준은 여전히 높았다. 4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 4월 대비 3.5%로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높았다. 생활물가지수는 물가지수를 측정하는 458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잦고 지출 비중이 커 소비자가 가격 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표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의 전년 동월 대비 오름세가 10.6%에 이르며 전체 물가지수를 끌어올렸다. 특히 농산물 가격 상승률이 20.3%에 이르렀다. 축산물(0.3%)과 수산물(0.4%) 오름세는 상대적으로 약했다.
배 가격이 전년 동월 대비 두 배 이상(102.9%) 뛰며 역대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장기간 과일 가격 상승세를 주도한 사과 값 오름세도 80.8%에 달했다.
전월 대비로는 양배추 가격이 39.7% 상승했다. 배추(25.5%), 당근(26.7%) 등도 강한 오름세를 보였다.
식료품과 에너지 관련 품목을 제외해 458개 중 309개 품목으로 작성한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OECD 방식 근원물가지수)는 2.3%였다.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해 458개 품목 중 401개로 작성하는 한국식 근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2%의 상승률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