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월 수출이 반도체와 자동차가 호조를 보이며 두 자릿수 증가율을 나타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4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수출은 562억6000만달러로 지난해 4월 대비 13.8% 증가했다. 수출은 지난해 10월 플러스로 전환한 이후 7개월 연속 증가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99억6000만달러로 지난해 4월 대비 56.1% 증가하며 역대 4월 중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기록하며 수출을 견인했다. 반도체 외에도 4대 정보기술(IT) 품목인 컴퓨터(76.2%), 디스플레이(16.3%), 무선통신기기(11.4%)도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글로벌 전기차 수요 감소로 올해 2∼3월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자동차 수출도 4월에는 하이브리드 차량 등의 판매 호조로 지난해 4월 대비 10.3% 증가한 67억9000만달러어치를 수출하며 역대 월별 수출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밖에도 바이오헬스(21.3%) 수출이 올해 처음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한 것을 비롯해 석유제품(19.0%), 석유화학(12.3%), 가전(9.4%), 선박(5.6%), 자동차부품(2.9%), 섬유(1.7%), 일반기계(1.5%) 등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13개 품목의 수출이 증가했다. 15대 수출품목 중 이차전지(-20.1%)와 철강(-5.7%) 등 2개 품목만 수출이 감소했다.
지역별로는 양대 수출국인 미국과 중국으로의 수출이 모두 증가했다. 대미 수출은 지난해 4월보다 24.3% 급증한 114억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9개월 연속 증가 흐름을 이어갔다. 대중 수출도 9.9% 증가한 105억달러로 2개월 연속 100억달러를 넘겼다.
4월 수입은 547억3000만달러로 지난해 4월보다 5.4% 늘었다. 월간 수입이 증가하기는 지난해 2월 이후 14개월 만이다. 정유사의 가동률 상승과 발전용·산업용 가스 도입 수요 증가에 따라 원유(17.8%), 가스(21.9%) 등 에너지 수입액이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이로써 수출입차인 4월 무역수지는 15억3000만달러 흑자를 냈다. 월간 무역수지는 지난해 6월 이후 11개월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갔다.
올해 1∼4월 누적 무역수지는 106억달러로 지난해 연간 적자 규모(103억달러)를 뛰어넘으며 2019년 같은 기간(126억 달러) 이후 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