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종식되자 주점 매출 크게 증가

지난 2022년 한 해 동안 프랜차이즈 커피 가맹점 수가 약 3000개 늘었다.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되며 외식, 서비스, 도소매 등 모든 업종에서 브랜드 수, 가맹점 수,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증가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8일 내놓은 가맹사업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국내 전체 가맹점 수는 35만2866개였다. 2021년 33만5298개에서 1년 사이 1만7568개(5.2%)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외식업종 가맹점 수가 17만9923개로 2021년 대비 7.4% 증가했다. 세부 업종별로 한식이 3만9868개로 전체의 22.2%로 가장 많았다. 이어 치킨 2만9423개, 커피 2만6217개, 주점 9379개, 제과제빵 8918개의 순서였다.
가맹점 수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커피였다. 2만3204개에서 2만6217개로 3013개, 13.0% 늘었다. 신규 개점 점포 수가 가장 많은 커피 브랜드는 컴포즈커피(626개)였다. 그 다음으로 메가엠지씨커피(572개)와 빽다방(278개) 순서이었다. 전체 가맹점 수는 이디야커피(3005개), 메가엠지씨커피(2156개), 컴포즈커피(1901개) 순서로 많았다.
커피 다음으로 가맹점 수가 많이 늘어난 업종은 한식(10.7%)이었다. 한식에서는 열정국밥(251개)의 신규 점포 수가 가장 많았고, 전체 가맹점 수는 본죽&비빔밥(836개)이 1위였다.
치킨 가맹점은 전년과 비슷했다. 가맹점 수는 bbq(2041개), 신규 점포 수는 BHC(443개)가 가장 많았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치르치르(9억8323만원)가 가장 높았다.
2022년 외식업종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3억1400만원으로 전년보다 12.7% 늘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종식의 영향을 크게 받은 주점은 매출이 66.2% 올랐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 대비 가맹점 평균 차액가맹금(가맹본부가 받는 일종의 유통마진) 비율은 4.4%였다. 업종별로 치킨이 8.2%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커피6.8%, 제과제빵 5.5% 순서였다.
서비스업종 가맹점 수는 10만4134개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1억78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0.7% 늘었다.
운송업종 가맹점 수가 2만7523개로 26.4%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외국어교육(1만6429개), 교과 교육(10만532개), 이미용(5262개) 순서였다.
도소매업종 가맹점 수는 6만8809개로 전년보다 3.1% 증가했다.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5억4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8% 늘었다.
편의점 가맹점 수는 5만5043개로 5.5% 증가했다. 브랜드별 가맹점 수는 CU(1만6615개), 신규 개점 점포 수는 세븐일레븐(2458개), 가맹점 평균 매출액은 GS25(6억3972만9000원)가 각각 가장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