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식 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을 웃도는 현상이 34개월째 이어졌다.
통계청 물가 통계에 따르면 3월 외식 물가 상승률은 3.4%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평균(3.1%)보다 0.3%포인트 높았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2021년 6월부터 2년 10개월(34개월)째 전체 물가상승률 평균을 웃돌았다.
외식 세부 품목 39개 중 64.1%인 25개 품목의 물가상승률이 평균을 웃돌았다. 물가 상승률은 비빔밥이 5.7%로 가장 높았다. 이어 떡볶이(5.3%), 김밥(5.3%), 냉면(5.2%), 구내식당 식사비(5.1%), 햄버거(5.0%)의 순서였다.
39개 외식 품목 중 가격이 내린 것은 없었다. 이와 달리 3월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1.4%로 평균보다 1.7%포인트 낮았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2021년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26개월 연속 평균을 웃돌다가 2월에 역전했고 3월까지 두 달째 이어졌다.
가공식품 세부 품목 73개 중 35.6%인 26개 품목의 가격상승률이 평균을 상회했다.
설탕이 19.7%로 가장 높았고, 소금은 18.4% 상승률을 보였다. 이어 기타 육류가공품(7.5%), 초콜릿(7.5%), 아이스크림(6.9%), 과일 가공품(6.7%), 우유(6.2%), 편의점 도시락(5.5%)의 순서였다.
차(-7.9%)를 비롯해 유산균(-5.6%), 시리얼(-4.5%), 라면(-3.9%), 탄산음료(-3.4%) 등 23개 품목은 가격이 하락했다. 정부가 물가안정 대책을 추진하자 식품기업들이 제품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