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질의 '중간 숙련' 일자리 위해 교육 등 업그레이드 지원 해야"
양질의 숙련 일자리 창출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선진국 대부분에서 중간 수준의 임금을 주는 일자리가 사라지는 노동시장 양극화 현상이 한국에서도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한국은행 김상우 과장과 조광래 조사역은 13일 해외경제 포커스에 실린 '미국의 노동시장 양극화 배경 및 시사점'이라는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와 산업과 인구구조가 유사한 대부분 선진국에서 노동시장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같은 흐름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일반적"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 보고서는 그 실례로 미국 노동시장 양극화 현상을 분석한 자료를 꼽았다.
미국의 직업별 임금수준을 고임금(관리직, 의료전문직, 법률직 등), 중임금(사회서비스직, 교육 관련직, 판매직, 사무·행정직), 저임금(의료보조직, 음식 관련직, 청소·유지보수직)으로 나눠 분류해 본 결과 2008∼2017년 미국 노동시장에서 고임금 취업자는 연평균 1.8%, 저임금은 1.7% 늘었으나 중임금 취업자는 오히려 0.2% 감소했다.
특히 고임금일수록 임금 상승률은 커 노동시장의 양극화는 더욱 깊어졌다. 2008∼2017년 하위 임금근로자 25%의 연평균 임금 상승률은 1.5%에 그쳤으나 상위 25%는 1.9%에 달했다. 중임금 일자리가 실종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기업들이 경쟁력을 높이자는 취지에서 자동화, 오프쇼어링(기업 생산기지 해외 이전)을 추진한 탓이다.
더욱이 앞으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AI) 기술 발전 등으로 중임금 일자리는 더 줄어들 공산이 커질 것으로 분석됐다. 이 보고서는 "양질의 중간숙련 일자리 창출과 아울러 저임금 취업자에 대한 기술 교육 지원 등을 통해 중임금·고임금 일자리로 한 단계 위로 이동할수 있도록 사회안전망 보강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