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건설사의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늘었지만, 공사비 상승에 따른 원가 부담으로 영업이익률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 시장이 침체해 미분양주택이 늘면서 건설사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 현대건설, DL이앤씨, 대우건설, GS건설 등 시공능력평가 상위 건설사들의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2022년보다 낮아지면서 대부분 5% 안팎을 기록했다. 건설 호황기 영업이익률이 10%를 웃돈 것과 비교하면 수익성이 절반으로 떨어진 것이다.
주요 건설사들의 영업이익률이 낮아진 것은 최근 몇 년 동안 시멘트와 레미컨 등 원자재 가격과 인건비가 오르면서 공사비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지난해 매출은 19조31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2.3%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2022년 8750억원에서 지난해 1조340억원으로 18.2% 성장했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은 2022년 5.99%에서 지난해 5.35%로 낮아졌다.
현대건설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매출은 2022년 대비 39.6% 늘어난 29조6514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5749억원에서 7854억원으로 36.6% 늘었다. 그러나 영업이익률은 2022년 2.71%에서 지난해 2.64%로 줄었다.
DL이앤씨의 지난해 매출도 7조9945억원으로 전년보다 6.64% 증가했다. 영업이익이 3312억원으로 전년보다 33.4% 급감하면서 영업이익률은 4.15%에 그쳤다. 2021년 DL이앤씨의 영업이익률(12.54%)과 비교하면 2년 만에 3분의 1로 위축됐다.
GS건설의 영업이익률도 2020년 7.41%, 2021년 7.15%, 2022년 4.51%로 계속 줄었다. 특히 지난해에는 인천 검단신도시 지하주차장 붕괴사고 여파로 3884억원 영업적자를 냈다.
대우건설의 지난해 매출은 11조6478억원, 영업이익은 6625억원이었다. 대우건설의 영업이익률은 5.68%로 상대적으로 다른 건설사보다 높았지만, 2021년(8.50%) 2022년(7.29%)보다는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