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1981년 이후 가장 적어…사망자는 늘어 49개월째 인구 자연감소

저출생이 갈수록 심화하며 지난해 11월 출생아 수가 월간 기준 처음으로 1만7000명대를 기록했다.
통계청이 24일 내놓은 '2023년 11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출생아 수는 1만7531명으로 2022년 11월 대비 1450명(7.6%) 적었다. 11월 기준으로 1981년 월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적었다. 출생아 수가 1만7000명대로 줄어든 것도 처음이다.
시도별로 충북·충남·전남 등 3곳에서만 출생아 수가 증가했다. 서울·부산 등 나머지 14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4월(1만8484명)부터 8개월 연속 1만명대에 머물렀다. 이에 따라 지난해 1∼11월 누적 출생아 수는 21만3572명으로 역대 최소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8.1% 감소한 수준이다.
연말로 갈수록 출생아 수가 줄어드는 흐름을 감안할 때 연간으로도 지난해 출생아 수는 역대 최소일 가능성이 높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뜻하는 조(組)출생률은 지난해 11월 4.2명으로 1년 전보다 0.3명 적었다.
지난해 11월 사망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99명(0.3%) 증가한 3만255명이었다. 같은 달 기준 가장 많았다. 인구 고령화 추세에 코로나19 감염이 지속된 결과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지난해 11월 인구는 1만2724명 자연 감소했다. 우리나라 인구는 2019년 11월부터 49개월째 자연 감소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