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월간 주택 전세거래가 2만건에 턱걸이하며 6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도 다시 '거래 절벽'에 빠지면서 전세도 매매도 얼어붙은 모습이다.
서울 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의 주택 전세거래(계약일 기준)은 지난해 12월 2만37건으로 1년 전인 2022년 12월(2만2366건) 대비 10.4%, 지난해 11월(2만1729건) 대비 7.8% 각각 감소했다. 이는 2017년 12월(1만8692건) 이후 최저치다.
주택 전세거래은 아파트와 다세대·연립, 단독주택을 모두 합친 것이다. 아파트 전세거래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전셋값이 오르면서 이사비, 공인중개사 수수료 등 비용을 감수하며 주거를 이전하기 어려웠을 것으로 보인다. 12월이 비수기인데다 전셋값이 오르니 세입자가 기존 계약을 유지하려는 경향도 커졌을 것으로 분석된다. 빌라의 경우 전세사기 여파에 따른 전세 기피 현상으로 전세거래가 줄었다.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도 지난해 정부의 규제완화와 특례보금자리론으로 회복하다가 다시 급감했다. 지난해 12월 서울 아파트 거래는(계약일 기준)은 1730건으로 지난해 1월(1413건)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적었다.
서울 아파트 월간 거래량은 2022년 하반기 가파른 금리인상 여파로 1000건 아래로 감소했다가 정부가 서울 강남 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지역을 규제지역에서 해제하고 특례보금자리론을 내놓으면서 살아났다.
서울 아파트 월간 거래량은 지난해 4∼9월 6개월 연속 3000건 이상을 유지하다가 9월부터 다시 줄었다.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한 데다 지난해 9월 말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6억∼9억원)이 중단된 점이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