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인 가구가 급증한 여파로 2022년 서울 주택보급률이 93.7%로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1인 가구 분화에 따른 가구 수 증가를 주택 공급이 따라가지 못함에 따라 주택보급률은 서울과 수도권은 물론 지방에서도 3년 연속 하락했다.
통계청의 신(新) 주택보급률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서울 주택보급률은 93.7%로 2021년 대비 0.5%포인트 낮아졌다. 이는 2009년(93.1%) 이후 13년 만의 최저치다.
서울 주택보급률은 2019년 96.0%에서 2020년 94.9%, 2021년 94.2%, 2022년 93.7% 계속 낮아졌다. 2022년 말 기준 서울 가구 수는 409만8800가구인데, 주택 수는 383만9800호로 가구 수보다 25만9000호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보급률은 주택 수를 가구 수로 나눈 뒤 100을 곱해 산출하는 수치다. 주택 재고를 거주 가구 수와 비교해 많은지 적은지를 판단하는 지표다.
2022년 기준 전국 주택보급률도 102.1%로 1년 새 0.1%포인트 낮아졌다. 전국 주택보급률은 2010년(100.5%)부터 2019년(104.8%)까지 꾸준히 오르다가 2020년 103.6%로 꺾였고, 2022년까지 3년 연속 하락했다.
서울 등 수도권과 지방의 주택보급률이 동시에 하락한 것은 2020년부터다. 2019년까지만 해도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100% 미만인 곳은 서울 한 곳이었는데 점차 늘어났다. 2022년 기준 주택보급률이 100% 미만인 곳은 서울과 경기(98.6%), 인천(97.9%), 대전(97.2%) 등 4곳이다.
비수도권 주택보급률은 2019년 110.1%에서 2020년 108.9%, 2021년 107.4%, 2022년 107.5%로 줄었다. 전국에서 주택보급률이 가장 높은 지자체는 경북(113.2%)이고 전남(112.4%), 충북(111.6%), 충남(110.3%)이 그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