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2009년 이후 가장 높은 '밀크 플레이션' …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6%)의 2.8배 수

지난해 우유 가격 상승률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우유를 원료로 사용하는 발효유, 치즈, 아이스크림 등 유제품도 크게 올라 우유 원유(原乳) 가격 인상에 따른 '밀크플레이션'(우유+인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났다.
통계청 물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우유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8.13으로 전년 대비 9.9% 올랐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19.1%) 이후 14년 만의 최고치다. 지난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3.6%)의 2.8배 수준이다.
우유가 원료인 유제품 가격도 큰 폭으로 올랐다. 지난해 발효유 가격 상승률은 12.5%로 1981년(18.4%) 이후 42년 만에 가장 높았다. 치즈 가격 상승률도 19.5%로 2008년(22.0%) 이후 15년 만의 최고치였다.
아이스크림 가격 상승률도 10.8%로 2008년(14.4%) 이후 15년 만에 최고를 찍었다. 분유 가격 상승률은 6.8%로 2014년(7.15)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았다.
이처럼 우유 관련 제품의 물가가 크게 오른 것은 우유의 원료가 되는 원유 가격이 인상된 이후 유업체들이 이를 계기로 흰 우유와 유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서울우유는 흰 우유 제품 '나100%우유'(1L) 출고가를 대형 할인점 기준으로 3% 올려 판매가격이 3000원 선에 근접했다.
매일유업과 남양유업, 동원F&B 등도 유제품 가격을 올렸고 롯데웰푸드와 빙그레, 해태아이스크림 등 빙과업체는 아이스크림 가격을 일제히 인상했다.
저작권자 © 이코노텔링(econotelling)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