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중교통 이용액의 일정 부분을 돌려받는 'K-패스'가 오는 5월로 앞당겨 시행된다.
국토교통부는 국민의 대중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당초 7월부터 시행할 예정이었던 K-패스 적용 시기를 두 달 앞당긴다고 17일 밝혔다.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시내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다음 달 돌려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다. 환급 비율은 일반인 20%, 청년층 30%, 저소득층 53%다. 대중교통비로 월평균 7만원을 지출하면 일반인은 1만4000원, 청년은 2만1000원, 저소득층은 3만7000원을 아낄 수 있다.
현행 알뜰교통카드는 이동거리를 기준으로 마일리지가 지급되는 방식이어서 매번 출발·도착을 기록해야 하는 불편이 있지만, K-패스는 지출금액에 따라 환급되므로 '이동거리 기록'을 하지 않아도 된다. 국회 예산 심의과정을 거치며 최소 이용횟수 조건도 월 21회에서 15회로 완화됐다.
장거리 출·퇴근자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일반 시내버스와 지하철 외에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 광역버스 등 비용이 많이 드는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도 K-패스 사용이 가능하다.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별도 카드 재발급 없이 기존 교통카드로 K-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국토부는2월부터 애플리케이션 내 회원 전환 절차를 안내할 예정이다. 신규 이용자는 5월부터 K-패스 누리집(korea-pass.kr)이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11개 카드사 누리집을 통해 교통카드 상품을 골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국토부는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를 확대해 K-패스를 대표적인 대중교통비 지원사업화할 방침이다. 현재 176개인 K-패스 참여 지자체를 5월까지 189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인구 10만명 이하인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면 사실상 전국 모든 지자체에서 K-패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