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품산업이 처음으로 90조원 생산출하 벽을 넘었다. 3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2019 식품산업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식품제조업(식료품+음료) 출하액은 전년보다 2조원(2.3%) 증가한 91조3천억원으로 추계됐다. 식품제조업 출하액이 90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5년 83조9천억원으로 80조 원대에 들어선 지 3년 만에 90조원을 돌파한 것이다. 분야별로는 ▲곡물 가공(8.8%)▲사료 및 조제 식품(7.2%)▲과채 가공(5.8%)▲비알콜음료(4.5%)▲수산물가공(3.9%)의 출하액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올해에도 식품제조업 출하액이 더 늘어 지난해보다 2.7% 증가한 93조7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업종별론 가정간편식(HMR)의 급성장세가 돋보였다.지난해 국내 HMR 판매액은 전년보다 21.7% 성장한 2조6천억원에 달하는 등 2010~2017년 연 17.3%의 고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연구원은 유통 및 제조업체의 잇따른 HMR 시장 진출을 언급하며 "HMR 시장이 도입기를 넘어 프리미엄 일상식으로서 본격적인 성장기에 접어들었다"고 분석했다. 음료는 지난해 출하액이 6조8천억원으로 전년보다 4.5% 증가했다. 2015년 이후 지난해까지 연평균 증가율은 7.9%였다.
특히 4억 달러(약 4천500억원)에 못 미치던 수출액이 2017년 5억6천만 달러(약 6천300억원)를 돌파할 정도로 급증했다. 커피와 에너지 드링크 등이 아시아 지역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올해부터 동남아 시장에서 음료에 무관세가 적용되면서 수출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연구원은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