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고혈압·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이 2021년보다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율은 낮아졌지만 음주율은 다시 높아졌다.
질병관리청이 8일 내놓은 202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9세 이상 성인 남성의 비만 유병률은 47.7%로 2021년(46.3%)보다 1.4%포인트 높아졌다.
연령대별로 보면 남성 비만율은 30대 55.7%, 40대 53.6%, 50대 49.7%로 30∼50대 남성 2명 중 1명꼴로 비만이었다. 여성의 비만율은 25.7%로 2021년(26.9%)보다 1.2%포인트 낮아졌다. 하지만 20대 여성 비만율은 18.2%로 2021년보다 2.3%포인트 높아졌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우리나라 국민의 건강과 영양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매해 약 1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통계조사로 국가 건강정책의 근거 자료로 활용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20대의 식생활 악화, 30∼40대의 비만·건강행태 악화, 50대 이상의 만성질환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청장년층의 건강 위험요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지난해 고혈압 유병률은 남성 26.9%, 여성 17.0%였다. 남성은 2021년(25.2%)보다 1.7%포인트 높아졌고 여성은 비슷했다. 특히 50대 남성의 고혈압 유병률은 35.8%로 2021년(41.6%)보다 5.8%포인트 상승했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남성은 20.9%로 2021년과 비슷했고, 여성은 22.6%로 2021년보다 2.3%포인트 높아졌다. 당뇨병 유병률은 남성 11.2%, 여성 6.9%였다.
흡연율은 감소했으나 음주율은 다시 늘었다.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녀 모두 개선됐다. 지난해 흡연율(궐련 기준)은 남성 30.0%, 여성 5.0%로 2021년보다 각각 1.3%포인트, 1.9%포인트 낮아졌다.
다만 액상형 전자담배 사용률은 남성 5.6%, 여성 1.3%로 2021년보다 각각 0.6%포인트, 0.1%포인트 높아졌다. 궐련형 전자담배 사용률도 남성 9.2%, 여성 2.4%로 2021년보다 각각 1.9%포인트, 0.7%포인트 높아졌다.
고위험음주율은 남성 21.3%, 여성 7.0%로 남성은 2021년보다 1.6%포인트 높아졌고, 여성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고위험음주율은 1회 평균 남성은 7잔(또는 맥주 5캔), 여성 5잔(또는 맥주 3캔) 이상을 적어도 주 2회 마시는 비율이다.
최근 1년간 월 1회 이상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성은 7잔(또는 맥주 5캔), 여성은 5잔(또는 맥주 3캔) 이상 음주한 비율인 월간폭음률은 남성 48.8%, 여성 25.9%로 2021년보다 모두 1.8%포인트 증가했다.
유산소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성 55.4%, 여성 50.7%로 2021년보다 각각 5.2%포인트, 5.3%포인트 늘었다.
아침 식사를 거르고 외식하는 성인이 늘어났다. 지난해 아침식사 결식률은 남성 35.2%, 여성 32.8%로 2021년보다 각각 3.8%포인트, 0.8%포인트 높아졌다. 외식률은 남성 33.4%, 여성 21.9%로 2021년보다 각각 2.0%포인트, 2.5%포인트 올라갔다.
특히 19∼29세 청년 2명 중 1명은 아침 식사를 걸렀고, 전체 에너지의 30%를 지방으로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