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으로 촉발된 수급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차량용 요소 공공 비축 물량을 두 배로 늘리기로 했다. 아울러 화물 차주단체와 주유소에 1회 구매수량 한도 설정을 요청할 방침이다.
기획재정부는 6일 김병환 1차관 주재로 관계부처 합동 경제안보 핵심품목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대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조달청은 현재 6000t인 차량용 요소 공공비축 물량을 이른 시일 내 1만2000t으로 늘리기로 했다. 비축 물량을 한 달 사용분에서 두 달 치로 늘리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달청은 국내 요소수 생산업체와 협의하고 있다.
정부는 일시적 수급 애로가 발생한 업체에게 현재 보유 중인 차량용 요소 비축 물량 2000t을 조기 방출하기로 했다. 국내 차량용 요소 물량은 베트남으로부터 수입하기로 한 5000t 등 계약 물량을 포함해 3.7개월 사용분의 재고를 확보한 상태다.
정부는 유통시장 교란을 방지하기 위해 차주단체와 주유소에 1회 요소 구매수량 한도 설정 등 업계의 자율적인 노력을 요청할 방침이다. 현재도 주유소에서는 1회 구매 시 요소수를 3통 이상 판매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수급 우려를 촉발한 당사국 중국과 외교적 협의를 지속하는 한편 제3국으로부터 수입도 추진하기로 했다.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등과 협의하고 있다. 정부는 과거 수입 실적 을 바탕으로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도 염두에 두고 있다. 롯데정밀화학은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이 감지된 지난달 30일 이후 베트남에서 요소 5000t을 들여오는 새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 의존도가 높은 차량용 요소 수입선 다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정부는 중국 외 다른 나라에서 요소를 들여오는 기업에 지원금을 주는 방안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오는 14일 시행될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및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기반해 지원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중국산보다 비싼 제3국에서 요소를 구매할 때 들어가는 비용을 지원금 형태로 지급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베트남,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 국가에서 생산된 요소는 운송비가 더 들어가기 때문에 도입 비용이 중국산보다 10∼20% 비싸다.